블로그 소개 및 공지사항 안내
자세히보기

경제

트럼프의 감세와 규제 완화, 미국 증시 낙관론의 배경과 전망

선견 2025. 1. 20. 06:11
반응형

선견입니다. 전세계적으로 미국에 영향을 받다보니 도널드 트럼프의 취임 이후로 미국 증시가 어떻게 돌변할 것인가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죠. 최근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미국 증시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낙관론과 우려가 교차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미국 증시의 낙관론에 대해 글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출처 : 한국경제

반응형

감세 및 규제 완화 정책의 영향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 출처 : 로이터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감세와 규제 완화를 핵심 경제 정책으로 추진했습니다. 법인세 인하와 금융 규제 완화는 기업의 수익성을 높이고, 투자 환경을 개선할 것이라는 기대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이러한 정책 방향은 특히 금융, 에너지, 인프라 분야의 기업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이러한 정책에 대한 기대감은 투자자들의 심리를 자극하여 증시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뉴욕 증시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상승세를 보였으며, 주요 투자은행들도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예를 들어, 모건스탠리의 마이크 윌슨 최고투자책임자(CIO)는 S&P500 지수가 내년 말 6500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와 소비자 신뢰 지수 상승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CEO / 출처 : 아시아경제

트럼프 행정부의 친기업적 정책과 경제 성장 촉진 의지는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졌습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소비자기대조사(SCE)에 따르면, 1년 후 가계 재정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중이 37.6%로, 전월 대비 8%포인트 상승하며 약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소비자 신뢰 지수의 상승은 경제 전반에 대한 낙관론을 반영하며, 소비 지출 증가로 이어져 기업의 매출과 이익 증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시 증시 상승의 동력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무역 정책에 대한 우려와 시장의 변동성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와 관세 부과 정책은 시장에 불확실성을 가져왔습니다. 특히 중국을 비롯한 주요 교역국과의 무역 갈등은 글로벌 공급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습니다. 이러한 무역 정책은 인플레이션 상승과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협상 수단으로 사용될 것이며, 실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예를 들어,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솔로몬 CEO는 트럼프 행정부가 친성장 의제를 운영하며 규제 완화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결론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증시의 낙관론은 감세와 규제 완화 정책,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 소비자 신뢰 지수 상승 등 여러 요인에 의해 형성되었습니다. 그러나 무역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과 시장 변동성에 대한 우려도 존재합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한 투자 판단을 내릴 필요가 있습니다.


함께 읽을만한 기사들을 소개합니다. 

 

트럼프 효과?…美 가계 재정 낙관론 5년여 만에 최고치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미국 가계의 재정 전망 낙관 수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당선 이후 치솟으며 약 5년 만에 최고치를

v.daum.net

 

 

글로벌銀 경영진, 트럼프 2기 경제 낙관론 쏟아내…"관세는 협상 수단"

주요 글로벌 금융사 경영진이 내년 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취임 후 미국 경제 전망에 대한 낙관론을 쏟아냈다.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률 저해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우려되는 트럼프

v.daum.net

 

반응형

'경제'의 다른글

  • 현재글 트럼프의 감세와 규제 완화, 미국 증시 낙관론의 배경과 전망

관련글